2024학년도 공립 특수학교(초등) 교육과정 A, 4번

2023. 11. 16. 10:39Education

반응형

2024학년도 공립 특수학교(초등) 교육과정 A, 4번

 

1) ① 일견단어

    ② 궁극적 기능성의 기준

 

2) ① 빈 칸 메우기 검사

    ② 정확하게 읽은 낱말의 수가 목표보다 더 높은 수준으로 달성되기 때문에 개인목표를 재설정하고 현재보다 조금 더 높은 수준의 중재를 제공한다.

 

3) ① 분산 시도

    ② 유지에 효과적이다.

 

 

 


 

1) ①해설


일견단어

일견단어 교수법(sight word) 반복적인 노출을 통해 주어진 단어의 시각적 형태를 기억하도록 하고, 단어의 시각적 형태와 음과의 의미를 서로 연합시키는 교수방법
문제에서는 "공통으로 해당하는 용어"라고 물어보고 있다. 아마 교수법을 물어봤다면 문제 자체로 "해당하는 교수법"과 같은 형태로 물어봤을 것이다. 또 지문의 내용도 가르치는 내용이 아닌 특정 행동을 설명해 놓은 것이기 때문에 "일견단어"라고 적는 것이 더 타당하다.

 

 

②해설

 


궁극적 기능성의 기준

교육과정 구성 및 운영을 위한 전제 연령에 적절한 교육과정
궁극적 기능성의 기준
최소 위험 가정 기준
영수준의 추측
자기결정 증진

 

궁극적
기능성의
기준
- 중도장애 학생을 위한 교육목표로서, 그들이 성인이 되어 [최소제한환경]에서 일반인들과 함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여 기능할 수 있도록 하는 것
- 학생과 가족의 선호도/생활연령에 적합성(또래와 비교하기)/문화적 요소를 고려하여 최소제한환경을 설정함

[
최소제한환경]

장애아동을 장애가 없는 또래, 가정, 지역사회로부터 가능한 한 최소한으로 분리시켜야 한다는 개념. 이런 최소제한환경에서 학생들은 다른 능력을 가진 학생들에게서 배울 수 있으며, 배운 기술은 동질집단에서 배운 것보다 일반화에 유리함

 

지적장애 영역에서 '교육과정 구성 및 운영을 위한 전제'를 묻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명칭을 묻는 문제나 내용을 기술하는 것 꼭 연습하도록 하자!!

2) ① 해설


2015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 p123
국어과

 

나. 평가

 (2) 평가 방법

  (나) 내용 체계 및 국어 생활의 실제를 종합적으로 고려하면서 영역별로 성취기준이 잘 반영될 수
있도록 평가한다.
① 듣기・말하기 영역에서는 시선 사용, 미소 짓기, 주의 집중, 지시 따르기, 대화 등의 관찰 가
능한 행동을 중점으로 한 관찰의 누가 기록, 자발화 분석, 녹음 자료, 지필 검사, 수행평가
등의 방법을 활용하여 평가한다.
② 읽기 영역에서는 선다형 검사, 빈 칸 메우기 검사, 중요도 평정 척도, 읽기 녹음 자료, 유창
성에 대한 관찰의 누가 기록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여 평가한다.
③ 쓰기 영역에서는 직접 평가 방법을 원칙으로 하되, 총체적 평가, 분석적 평가, 관찰의 누가
기록, 포트폴리오 평가, 수행평가 등의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여 평가한다.

 

교육과정 이런 부분에서 나온다면... 맞추면 좋고 틀리면 대부분이 틀리니 너무 걱정 마세요 ^^!!

 

 

② 해설

 


교육과정중심측정(CBM)

 

교육과정중심측정(CBM)

(1) 교사가 실제로 가르친 내용을 대상으로 간편하게, 타당도와 신뢰도를 어느 정도 갖추어 측정한 일종의 형성 평가 형태
(2) 교수방법이나 수업방법의 개선 시점 혹인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자료가 될 수 있음
(3) 학생의 진보를 시각적인 정보로 제공함
(4) 추가적인 교수 또는 다른 형태의 교수를 필요로 하는 학생을 확인하기 위한 보편적 선별을 위해 사용될 수 있음
(학생의 수행을 다른 학생과 비교하는 규준 정보를 제공함)

 

※ CBM을 통해 중재에 대한 반응을 수집한 뒤
① 학생의 개인목표보다 더 높은 반응(성취) 점수가 나왔을 때 ☞ 학생의 개인목표를 재설정하고 현재보다 조금 더 높은 수준의 중재를 간헐적으로 제공함
② 학생의 개인목표에 정확하게 도달했을 때 ☞ 효과적인 중재였다고 검증됨
③ 학생의 개인목표에 현저하게 도달하지 못했을 때 ☞ 다른 중재 방법을 적용해 봄

 

교육과정중심측정을 몰라도 해당내용을 짐작하여 쓸 수 있다. 개인목표를 재설정한다는 내용이 포함된다면 정답으로 인정될 것이다.

 

3) ①, ② 해설


분산시도

분산시도 교수
(분산시행)
- 교사가 하루일과 전반에 걸쳐 목표행동에 대한 교수를 전달함
- 시행을 훈련 회기 동안에 분산하여 실시함
- 진행되는 활동의 자연스러운 상황 내에 목표행동이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함

- 장점: 학습한 반응은 오래 유지됨
- 단점: 학습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림

 

 

①번 문제는 지문에서 "일과 내에서 낱말을 읽을 기회를 나누어 제시하는", "집중적으로 연습하기보다는 하루 동안 여러 번에 걸쳐"라고 말하고 있다. 분산시도 설명과 일치한다.

②번 문제는 장점을 쓰면 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