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학년도 공립 특수학교(초등) 교육과정 A, 1번
2023. 11. 13. 09:41ㆍEducation
반응형

1) ①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초등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
② 자립
2) 기본 생활 습관
3) ① 학교는 학교의 특성, 학생-교사-학부모의 요구 및 필요에 따라 자율적으로 교과(군)별, 창의적 체험활동, 일상생활 활동 간 50% 범위 내에서 시수를 증감하여 편성운영할 수 있기 때문이다.
② 2년간의 기준 수업 시수
1) ①, ② 해설


2022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
다. 기본 교육과정은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초등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의 학생을 대상으로 편성⋅운영한다.
자. 기본 교육과정의 교과는 특수교육 대상 학생의 자립과 사회 통합에 필요한 기초 학습, 생활 기능, 진로 및 직업 적응 등의 능력을 기르는 내용으로 구성한다.
'다' 항목에서 변경된 내용이 중요했기 때문에 출제된 것으로 보인다.
2015 = 기본 교육과정은 공통 교육과정 및 선택 중심 교육과정을 적용하기 어려운 초등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의 학생을 대상으로 편성・운영한다.
2022 = 기본 교육과정은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초등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의 학생을 대상으로 편성
⋅운영한다.
'자' 항목은 신설 항목입니다.
2)


2022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
Ⅲ. 학교급별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기준 - 3. 기본 교육과정 편성 운영 - 나. 교육과정 편성 운영 기준
2) 학교는 모든 교육 활동을 통해 학생이 기본 생활 습관, 기초 학습 능력, 바른 인성을 함양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편성⋅운영한다.
3) ①, ②해설


2022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
Ⅲ. 학교급별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기준 - 3. 기본 교육과정 편성 운영
나. 교육과정 편성 운영 기준
4) 학교는 학교의 특성, 학생·교사·학부모의 요구 및 필요에 따라 자율적으로 교과(군)별, 창의적 체험활동, 일상생활 활동 간 50% 범위 내에서 시수를 증감하여 편성⋅운영할 수 있다. 단 체육, 예술(음악/미술) 교과는 기준 수업 시수를 감축하여 편성⋅운영할 수 없다.
가 .편제와 시간 배당 기준
2) 시간 배단 기준
② 학년군의 교과(군)별, 창의적 체험활동, 일상생활 활동 시간 배당은 연간 34주를 기준으로 2년간의 기준 수업 시수를 나타낸 것이다.
①번 문제는 '일상생활 활동'이 추가된 내용이다.
반응형
'Educa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학년도 공립 특수학교(초등) 교육과정 A, 3번 (2) | 2023.11.15 |
---|---|
2024학년도 공립 특수학교(초등) 교육과정 A, 2번 (0) | 2023.11.13 |
2023학년도 공립 특수학교(초등) 교육과정 B, 4번 (0) | 2023.11.10 |
2024학년도 전국 특수교육과(유아특수, 초등특수, 중등특수, 특수체육, 직업교육) (0) | 2023.11.09 |
2023학년도 공립 특수학교(초등) 교육과정 B, 3번 (0) | 2023.1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