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학년도 공립 특수학교(초등) 교육과정 A, 3번

2023. 11. 15. 11:25Education

반응형

2024학년도 공립 특수학교(초등) 교육과정 A, 3번

 

1) A는 일관된 오조음을 보이지만, B는 비일관적인 오조음을 보인다.

 

2) ① 조음점 지시법

    ② 선생님이 단어를 따로따로 나눠서 말할 서예요. 그러면 준우가 합쳐서 말하는 거예요. /가 - 방/

 

3) ① 확대

    ② 평행적 발화기법

 

 

 


 

1) 해설


의사소통장애

말장애 조음음운장애
유창성장애
음성장애
언어장애 실어증
단순언어장애

 

말장애와 언어장애를 오조음의 일관성 측면에서 비교하면 된다. 

 

2) ① 해설, ② 해설


조음점 지시법

조음점
지시법
- 수동적 방법 중 하나로 치료사가 지시해 주는 대로 조음위치와 방법을 지각하는 훈련
- 목표 음소에 대한 입술, , 턱 등 조음기관의 바른 위치와 공기 흐름의 바른 사용을 가르침
- 정확한 조음의 위치를 설압자, 면봉, 음식물, 손가락, 거울, 구조도 등으로 지적하여 아동이 정확한 조음을 하도록 유도
- 개별 음소를 정확하게 조음하는데 주력하므로 대화까지 그 기술을 전이시키기 어려움
- 청각적 변별이 어려운 청각장애 학생과, 구체적 조작기에 있는 초등학교 연령의 학생들에게 효과적임

 

B 지원 내용에서 명확하게 힌트를 주고 있다. 
설압자, 면봉, 거울 등으로 정확하게 조음 하도록 지도하고 있기 때문에 조음점 지시법이다.

 


음운인식

음운합성 - 선생님이 단어를 따로따로 나눠서 말할 거예요. 그러면, 민화가 듣고, 합쳐서 말하는 거예요./사-자/ [답:사자]
- 선생님이 단어를 따로따로 나눠서 말할 거예요. 그러면, 민화가 듣고, 합쳐서 말하는 거예요./지-우-개/[답:지우개]

 

학습장애에서도 나오는 음운인식 관련 내용이다. 음운인식은 음운인식의 하위기술을 정확하게 아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번처럼 교사 발문의 예시를 아는 것도 중요하다.

 

3) 해설

 

 


발화 후 언어자극 전략

확대 - 아동의 발화를 의미적으로 보완해줌
- 교사는 아동의 발화에 의미적 정보를 첨가함
(그림책을 보며)
학생 : “아저씨, 아저씨!”
교사 : “소방관 아저씨구나.”

 

영호가 우유라고 말하면 영호의 발화에 의미적으로 정보(초코, 딸기, 바나나)를 더하였기 때문에 확대가 정답이다.

 


발화 유도 전략

평행적 발화기법
(상황 설명하기)
- 아동의 행위에 대해 아동의 입장에서 말함
- 성인이 아동의 입장에서
- 아동의 행동을 말로 표현해 줌으로써 아동이 자신의 행동을 나타낸 말을 들을 수 있게 함
(지수가 들어온다)
선생님 안녕하세요?”라고 선생님이 말한다

 

특수교사가 영호의 입장에서 표현하도록 요구하였다.
"영호가 어떤 행동을 할 때 어머니께서 영호의 입장에서 말로 표현해 주시는 방법"

이는 아동의 행동을 말로 표현해 줌으로써 아동이 자신의 행동을 나타낸 말을 들을 수 있도록 하는 평행적 발화기법이 정답이 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