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학년도 공립 특수학교(초등) 교육과정 A, 6번

2022. 12. 9. 16:08Education

반응형

2023학년도 공립 특수학교(초등) 교육과정 A, 6번

 

1) ① 가치 명료화 수업 모형

    ② 내가 선택한 가치를 행동으로 나타내기

 

2) 작문 쓰기 학습장애

 

 

3) ① 수정

    ② 구두점 찍기, 철자법, 문장구조, 철자 등 어문규정에 맞추어 글을 쓰세요.

 

 

 


 

1) 

 

2015 초등 교육과정
도덕과 교수학습모형(가치 명료화 수업 모형)

 

가치 명료화 수업 모형(7단계)

선택 1. 자유롭게 선택
2. 여러 대안들로부터 선택
3. 대안들의 결과를 심사숙고하여 선택
존중 4. 선택한 바를 소중히 여기고 기뻐하기
5. 선택한 바를 다른 사람에게 기꺼이 확언하기
행동 6. 선택한 바를 행동하기
7. 생확 속에 지속적으로 반복, 실천

 

① 해설,  ② 해설

 

  ①은 위 수업모형으로 정확하게 명칭을 써주면 됩니다. ②는 지문의 내용에 적절하게 답안을 작성하면 됩니다. 도덕은 기본 교육과정에 없기 때문에 초등 교육과정 모형을 꼭 외워 주세요. 도덕 문제는 거의 모형 문제가 많으니 외워서 점수를 얻으면 좋겠죠?

 

 

 

 

 

2) 

쓰기 학습장애
하위영역

쓰기 학습장애 하위 영역

 

1. 글씨 쓰기 학습장애

2. 철자 쓰기 학습장애

3. 작문 쓰기 학습장애

 

작문
평가

- 양적인 평가: 제한된 시간동안 산출된 단어나 절의 수로 평가함

- 질적인 평가: 산출한 글의 내용, 구조, 표현 등을 루브릭을 통해 평가

 

2023학년도 공립 특수학교(초등) 교육과정 A, 6번

  해설  

 

  수아는 글씨 쓰기와 한 단어 혹은 짧은 문장으로 쓸 수는 있다. 양적인 평가에서 적은 단어를 쓰고 있고, 질적인 평가에서도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수아는 글씨 쓰기와 철자 쓰기에 어려움 보다는 작문하는 데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3) 

쓰기 학습장애
쓰기 과정적 접근
글쓰기 준비 단계
(계획하기)
- 글쓰기 주제를 선택함(=제목)
- 쓰는 목적(정보제공, 설명, 오락, 설득, 문학작품)을 명확히 함
- 독자를 분명히 함
- 목적과 독자에 기초하여 작문의 적절한 유형을 선택함(이야기, 보고서, 시, 논설, 편지 등)
- 쓰기를 위한 아이디어 생성하고 조직하기 위한 사전활동을 함
(브레인 스토밍, 마인드 맵 작성, 이야기하기, 주제와 세부항목 묶기 등)
- 교사는 학생과 협력하여 글쓰기 활동에 참여함(내용 재진술/질문을 함. 논리적으로 맞지 않은 생각을 지적함 ⇒ 피드백제공)
초고 작성 단계
(초안 작성)
- 일단 초고를 작성하고, 글의 내용을 수정하기 위한 충분한 공간을 남김
- 문법, 철자보다 내용을 생성하고 구성하는 데 초점을 둠
수정 단계
(내용 수정하기)
- 초고를 다시 읽고 보충하고 다른 내용으로 바꾸고, 불필요한 부분은 삭제하고 옮기면서 내용을 고침
- 글의 내용을 향상시키고 다양한 시각을 제안할 수 있도록 또래집단(글쓰기 도우미 집단)을 활용하여 피드백을 제공
- 글의 내용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또래집단으로부터 내용의 첨삭에 대한 피드백을 받게 함
편집 단계
(쓰기의 기계적 측면 교정하기)
- 구두점 찍기, 철자법, 문장구조, 철자 등의 어문규정에 맞추어 글쓰기를 함
- 글의 의미가 잘 전달 될 수 있도록 문장의 형태를 바꿈
- 필요하다면 사전을 사용하거나 교사로부터 피드백을 받음
- 또래교수를 사용한 편집하기 전략을 사용할 수 있음
(ex:서로의 글을 읽고 철자, 구두점, 완전한 문장인지의 여부, 문단 들여쓰기 등을 표시하여 교정하기)
쓰기 결과물 게시 단계
(발표하기)
- 쓰기 결과물을 제시하거나 제출함(학급 신문이나 학교 문장에 제출)
- 적절한 기회를 통하여 학급에서 자기가 쓴 글을 다른 학생들에게 읽어주거나 학급 게시판에 올려놓음
- 완성된 쓰기 결과물을 다양한 방법으로 다른 학생들과 공유하게 함

 

2023학년도 공립 특수학교(초등) 교육과정 A, 6번

 

  ① 해설

 

  위 쓰기 과정적 접근 단계를 보고 단계명을 쓰면 됩니다.

 

 

 

  ② 해설

 

  위 쓰기 과정적 접근 단계를 보고 해당하는 전략을 쓰면 됩니다. 3) 문제는 따로 설명할 내용이 없네요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