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학년도 공립 특수학교(초등) 교육과정 A, 4 번

2022. 12. 8. 13:16Education

반응형

 

2023학년도 공립 특수학교(초등) 교육과정 A, 4 번

 

1) ① '골고루 맛있게 냠냠' 읽기

           or 작품에 대한 개인 반응 정리하기

    ② 반응 심화

 

2) ① /가위/를 /아위/로 발음함

    ② 짝 자극 기법

 

 

3) ① 회피 행동

    ② 말을 더듬어도 괜찮다는 허용적 분위기를 조성해 준다.

         or 자기의 말더듬에 대해 둔감하도록 지도한다. 등

 


 

1) ① 해설 ② 해설

 

초등 교육과정
반응중심학습모형

 

반응중심학습모형
문학작품 지도 시 학습자 개개인의 반응을 중시
장점 학습자 개개인의 반응 존중 학습자의 역동적인 참여와 흥미 유발
텍스트와 독자 간의 교류의 과정과 결과를 강조
주의: 작품을 읽고 난 뒤 반응 활동에 집중한 나머지 감상의 바탕이 되는 작품읽기와 이해 과정이 소홀히 다루어지지 않도록 주의
자기중심적인 텍스트 이해로 해석의 무정부 상태에 빠지지 않도록 토의토론 병행하여 확장된 반응 이끌기
반응 준비 동기 유발 학습 문제 확인
반응 형성 작품 읽기
작품에 대한 개인 반응 정리
반응 명료화 작품에 대한 개인의 반응 공유 및 상호작용
자신의 반응 정교화 및 재정리
반응 심화 다른 작품과 관련짓기
일반화 하기
 

  초등 교육과정에서 국어 모형은 암기해야 한다. 국어 모형의 단계는 모두 4단계이니 선호하는 방법으로 단계 명이라도 암기!! 출제가 조금 어렵게 나왔다면 '반응중심학습모형을 적용하는 데 있어 주의할 점 2가지를 쓰시오'라고 나오지 않았을까요?

  

2023학년도 공립 특수학교(초등) 교육과정 A, 4 번

두 번째 단계인 반응 형성의 활동은 ①작품 읽기 ②작품에 대한 개인 반응 정리이다. 정답 인정은 융통성 있게 채점될 것 같다.

 

 

2) ① 해설

조음 위치와 조음 방법
정리표
  양순음 치조음 경구개 연구개 성문음
파열음 ㅂ, ㅃ, ㅍ ㄷ, ㄸ, ㅌ   ㄱ, ㄲ, ㅋ  
마찰음   ㅅ, ㅆ    
파찰음     ㅉ, ㅉ, ㅊ    
비음    
유음        

 

오류 유형
정리표
형태 특징
생략 - 음소를 빠뜨리고 발음하지 않는 오류형태
- 늦게까지 발견되는 조음 생략위치는 종성
- 생략은 ‘-’ or ‘로 표기
연필인피
공룡고용
고기오기
첨가 - 목표음소나 단어에 필요 없는 음소나 음절이 삽입된 경우
- 단모음을 이중모음으로 발음하는 형태도 흔히 관찰됨
달력단니역
먹고먹으로
사랑살랑
대치 - 목표음소대신 다른 음소로 바꾸어 발음하는 오류형태
- 발음하기 어려운 음소 대신 자신이 낼 수 있는 쉬운 음소로 바꾸어 발음하는 경향이 있음
- //5~6세경에 완전히 발음가능하기 때문에 아직 // 계열의 음을 습득하지 못한 아동들은 이를 //으로 대치하여 발음함 (, 모든 아동들이 이러한 대치 현상을 보임)
- 정상 아동들의 발달 과정에서도 흔히 관찰되는 발달성 조음 오류
- 대치는 ‘/’으로 표기 : ‘/’(대치된 음소/목표음소)
풍선풍턴
로 바꿈
포도포조
자장면다당면
선생떤댕
왜곡 - 목표 음을 변이음으로 바꾸어 발음하는 오류형태
- 표준음이 비표준음으로 바뀌는 경우
- //을 발음하면서 콧소리를 첨가한 경우
- 3-4세 정도의 아동들이 혀를 지나치게 앞쪽으로 가져다가 발음하는 경우

 

2023학년도 공립 특수학교(초등) 교육과정 A, 4 번
2023학년도 공립 특수학교(초등) 교육과정 A, 4 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위 '조음 위치와 조음 방법 정리표'와 '오류 유형 정리표'를 이해 및 암기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가면/에서 /ㄱ/이 초성, 연구개음은 /ㄱ/, /ㄲ/, /ㅋ/, /ㅇ/이고, 생략은 발음하지 않는 형태를 말한다. 그렇다면 /가면/에서 /ㄱ/이 초성이면서 연구개음이니 이를 생략하면 /아면/이 되겠다. 이 내용을 바탕으로 답안을 작성하면 정답으로 인정된다.

 

 

 

   ② 해설

 

짝 자극 기법
짝자극
기법
- 핵심단어와 훈련단어의 짝에 의해 조음치료를 하는 방법
- 핵심단어 : 정조음을 하는 단어/ 훈련단어 : 오조음을 하는 단어
*목표 : ‘핵심단어와 훈련단어에서의 목표음 //80%이상 바르게 말할 수 있음 ex) -, -, -, -
- 열쇠 낱말법은 짝자극 기법의 일종
- 문장수준, 회화수준(목표음소가 들어있는 문장을 산출할 수 있는 질문을 함으로써 실제 의사소통에서 안정적으로 발음하도록 함)으로 사용가능

 

2023학년도 공립 특수학교(초등) 교육과정 A, 4 번

핵심 단어와 훈련 단어라는 힌트가 나오면 짝 자극 기법을 떠올릴 수 있어야 한다. 짝 자극 기법은 전통적 접근법으로 전통적 접근법 안에 있는 '청지각을 이용한 훈련법', 반 리퍼의 전통적 치료기법', '짝 자극 기법', 조음 조절 프로그램', 조음점 지시 법' 등이 있다. 전통적 접근법과 비교되는 것이 언어인지 접근법이다.

이런 식으로 해당하는 명칭이 어느 부분에 위치해 있는지까지 확인하면 더 좋을 것 같다.

 

 

 

 

 

 

3) ① 해설

  

말더듬의 특성
이차적 행동(부수적 행동)
이차적 행동
(부수적 행동)
탈출
행동
말을 더듬는 도중에 말더듬에서 벗어나려고 취하는 신체적 행동을 뜻함
말더듬 행동에서 탈출하려고 발을 구른다든가 갑자기 고개를 뒤로 젖히는 행동
회피
행동
말을 더듬을 가능성이 있는 상황을 피하는 것을 의미함
- 동의어로 바꿔 말하기
- 돌려 말하기(에둘러 말하기)
- 순서 바꾸어 말하기
- 대용어 사용하기
- 간투사 사용하기
- 상황회피
- 사람회피
 

2023학년도 공립 특수학교(초등) 교육과정 A, 4 번
2023학년도 공립 특수학교(초등) 교육과정 A, 4 번

문제를 잘 읽어야 한다. 말더듬의 부수 행동 유형이라고 했다. 그렇다면 이차적 행동(부수적 행동)의 유형 2가지 중 1가지를 적는 것이다. 너무 깊게 생각해서 회피 행동 안에 있는 '상황 회피', '사람 회피' 등으로 쓰면 오답이 된다. 정답을 적기 전에 문제에 나와 있는 범위를 먼저 파악하는 것이 답안을 작성할 때 확신을 준다.

 

 

 

  ② 해설

 

㉥강우의 심리적 특성을 보면 ①심리적으로 불안하면 말더듬이 심해짐 ②말하기 활동 시 긴장하고 불안해함이다. 말더듬의 심리적 원인은 대부분 불안으로 인한 것이 많다. 그렇기 때문에 말할 때, 불안의 정도를 낮춰주기 위해 말을 더듬어도 된다는 허용적인 분위기를 만들어주고, 말더듬에 심리적으로 둔감해질 수 있도록 교사가 지도할 수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