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학년도 공립 특수학교(초등) 교육과정 A, 5번

2022. 12. 9. 11:46Education

반응형

2023학년도 공립 특수학교(초등) 교육과정 A, 5번

 

 

1) ① 모든 결과를 운명, 다른 사람의 힘과 같은 외적인 요인으로 돌린다.

    ② 사회참여 역량

 

2) ① 역할놀이

    ② 외적 통제소로 인해 자기에 대한 기대 수준이 낮고 타인에게 의존하므로 ㉢에서 친구들의 행동을 먼저 보고 모델링할 수 있기 때문에 효과적이다.

 

 

3) ① 지역사회 중심교수

    ② 자기결정

 

 

 


 

1) ① 해설

 

지적장애 심리 정서적(동기정) 특성
외적 통제소

- 결과의 원인을 운명이나 행운 혹은 다른 사람과 같은 외부의 영향으로 간주함

- 지적장애 학생들은 자신에 대한 기대 수준이 낮음으로 인하여 타인에게 의존하고, 과제 수행 결과 여부를 외부의 탓으로 돌리는 경향이 강함

- 지적장애 학생은 성공이나 실패에 대한 원이 또는 책임을 외적 통제소에 두는 경향이 강하며 상대적으로 노력을 덜 기울임

 

□지도 방법

- 학생들은 적응적이고 기능적인 기술을 획득해야 함

- 학생들이 적정한 행동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자신의 행위와 그 결과를 연결 짓고 문제가 될 만한 결과를 예언하도록 가르침

- 다양한 특정 행동과 이들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긍정적, 부정적, 중립적 결과들을 연결하는 환경적 요인들을 상세히 열거한 학습 계약을 사용함

2023학년도 공립 특수학교(초등) 교육과정 A, 5번

외적 통제소의 특성을 선택하여 작성하면 됩니다. 간단한 문제였네요.

 

 

 

 

2015 사회과 교육과정
핵심역량

- 창의적 사고력

- 비판적 사고력

- 문제 해결력 및 의사결정력

- 의사소통 및 협업 능력

- 정보 활용 능력

 

 

2015 기본 교육과정 사회과
핵심역량

- 자율 생활 역량

- 대인관계 역량

- 사회참여 역량

 

 

2023학년도 공립 특수학교(초등) 교육과정 A, 5번
2023학년도 공립 특수학교(초등) 교육과정 A, 5번
2023학년도 공립 특수학교(초등) 교육과정 A, 5번

 

  ② 해설

 

  이 문제를 보자마자 '엥?' 하고는 문제를 다시 읽었다. 일단 사회과 초등 교육과정 핵심역량과 기본 교육과정 사회과 핵심역량을 문제지 옆에 적는다. 그리고 생각해도 늦지 않는다. 지문은 기본 교육과정을 지칭하고 있고 문제에서는 초등 교육과정을 쓰라고 하니 말이다. 하지만 정답을 작성하는 데 문제는 없다.

  수업 내용이 기본 교육과정을 다루고 있으므로 기본 교육과정 사회과 핵심역량을 선택하면 된다. 수업 내용과 다른 교육과정에서 정답을 요구하진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2) 

2015 기본 교육과정
사회과 지도서

2015 기본 교육과정 사회과 지도서
2023학년도 공립 특수학교(초등) 교육과정 A, 5번
2023학년도 공립 특수학교(초등) 교육과정 A, 5번

  ① 해설

 

  안타깝게도 기본 교육과정, 초등 교육과정에서 나온 자료는 이것이 전부이다...

  기본 교육과정과 초등 교육과정 모형은 아래와 같다.

2015 기본 교육과정 사회과 모형
2015 초등 교육과정 사회과 모형

  초등 교육과정에서 나오는 수업기법(현장학습, 지도 학습, 지리적 사고력, 사료 학습, 극화 학습, 추체험 학습, 시사학습)도 찾아보았지만 없었다. 정답을 작성하는 데 있어 문제가 이렇게 나오면 상당히 난감하다. 하지만 문제를 풀어야 하는 것은 우리의 숙명!! 이런 것이 비일비재하기 때문에 우리는 그래도 답을 찾아낼 수 있다. 위 지도서를 참고하여 수업기법 중 역할놀이를 골라 기입하면 좋을 것 같다. 하지만 마음에 걸리는 것은 이것이다.

2023학년도 공립 특수학교(초등) 교육과정 A, 5번

  역할놀이를 통해 학생들이 서로 상호평가를 한다는 것이다. 이 문제의 정답이 역할놀이일 경우, '사회과에서 역할놀이 수업 기법을 적용할 때, 학생 평가는 어떻게 할지 쓰시오'라는 문제에 위와 같이 작성하면 좋을 것 같다.

 

 

 

② 해설

 

  외적 통제소에 대한 내용은 위 표를 참고하면 됩니다. 다만 답안을 작성할 때, 보험을 들어놓는 것이 좋다. ㉠은 틀릴 확률이 낮고 해당 내용을 언급해야 하니 어쩔 수 없이 내용을 기입했지만, ㉢의 경우 역할놀이가 아닐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두고 ㉢이라고 답안에 적었다. 이는 ㉢이 역할놀이가 정답이 아니어도 ②의 정답 확률을 높이는 것이다. 정답의 확신과 정확한 근거가 있다면 쓰는 것을 말리진 않겠다. 하지만 굳이 언급하지 않고 정답을 쓸 수 있다면 지문에 나온 내용을 그대로 언급하는 것도 하나의 기술이 아닐까 생각된다.

 

 

 

 

3) 

기능적 생활중심 교육과정
지역사회 중심교수

 

유형: ①지역사회 모의수업(CS) ②지역사회 참조수업(CRI) ③지역사회 중심교수(CBI)

지역사회 중심교수 비교표(지적장애아교육, 송준만 외, 학지사)
2023학년도 공립 특수학교(초등) 교육과정 A, 5번
2023학년도 공립 특수학교(초등) 교육과정 A, 5번

 

  ① 해설

 

  지역사회 중심교수를 비교하고 구분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언제 나와도 이상하지 않은 문제이다. 왜냐하면 특수교육 현장에서 가장 많이 적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지역사회 중심교수를 비교하는 가장 큰 기준은 수업의 장소이다. 수업의 장소가 교실, 대체 장소, 실제 현장이면 순서대로 지역사회 모의수업(교실), 지역사회 참조수업(대체 장소), 지역사회 중심교수(실제 현장)이다.

 

 

 

 

 

 

 

자기결정 기능 모델
주요 특성 및 구성요소
주요 특성 구성요소
자율성 선택 결정 기술
의사결정 기술
문제해결 기술
독립, 위험 무릎쓰기 및 안전기술
자기규칙 목표 설정 및 성취기술
자기관찰, 자기평가 및 자기강화 기술
자기교수 기술
심리적 역량 내적통제기술
효능성에 대한 긍정적 인식
자기옹호와 리더십 기술
자아실현 자기인식, 자기지식, 자기이해
자기 평가

 

  ② 해설

 

  지문[A]에서 말하는 것이 자기결정의 주요 특성이나 구성요소를 쓰라고 하는 것은 아닌 것 같다. 왜냐하면 지문에 나와있는 내용 3가지가 각기 다른 구성요소를 설명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 모두를 포함하는 자기결정을 쓰는 것이 적절해 보인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