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학년도 공립 특수학교(초등) 교육과정 A, 3번

2022. 12. 7. 14:09Education

반응형

2023학년도 공립 특수학교(초등) 교육과정 A, 3번

 

1) ① 구화법을 익혀 모든 청각장애인을 건청인의 사회에 통합시켜 가는 것이 목적이다.

    ② 독화, 발화, 수화, 지문자, 몸짓 등(택 1)

 

2) ① 한국수어는 동시성을 가지는 반면에 음성언어는 분절성을 가진다.

    ② 한국수어는 공간적으로 수화소를 배열하고 음성언어는 순차적으로 음소를 배열한다.

 

 

3) 이중언어-이중문화 접근법

 

 

 


 

1) ① 해설

 

총체적 의사소통법(종합적 의사소통법)
Total Communication

 

종합적 의사소통법은 청각장애인에게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확립하기 위해 구화, 청능훈련, 수화, 지문자 등의 모든 수단을 결합시키는 것을 말한다. 종합적 의사소통법은 구화법을 익혀 청각장애인과 비장애인 간, 청각장애인 간 청각장애인을 사회에 통합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로체스터법과는 다름을 알고 넘어가야한다.

 

  로체스터법: 구화법과 지문자를 함께 사용하는 방법

 

 

    ② 해설

 

독화, 발화, 수화, 지문자, 몸짓 등 

 

 

 

2) ① 해설, ② 해설

 

 

수화 음성언어 비교
수화 특징 음성언어
- 수화는 공간적으로 수화소를 배열
- 문장 수준에서도 나타남
공간적 배열
(공간성)
- 음성언어는 순차적으로 음소를 배열
- 수화는 도상성이 강함
- 도상성: 형태를 보고 드 끗을 유추할 수 있는 정도
도상성과 자의성
(사상성과 규약성)
- 음성언어는 자의적으로 구성
- 자의성: 소리와 의미의 관계가 사회적 약속에 의해 임의적으로 이루어진 것
- 동시적인 분절
- 수형, 수동, 수향, 체동 즉 수화소들이 동시적으로 짝을 맞추어서 수화 단어를 형성
동시성 연속적인 분절임
- 수화에만 존재하는 언어적 특성
- 반의어에서 나타남
 ex) 밝다vs어둡다: 수형은 같고, 수향이 반대
가역성 *
- 의성어, 의태어 및 그 외에 강조할 때 반복성 - 동일함
- 수화의 조동에 필요한 손과 몸의 운동향이 음성언어보다 더 큼 조음과 조동의 운동량 비교 - 음성언어의 조음에 필요한 혀의 운동량(조음)이 조동보다 운동량이 낮음
- 비수지 신호는 얼구 표정, 머리의 움직임, 시선, 입 모양, 몸의 움직임 등 수지 신호와 동반 또는 독립적으로 사용하는 신호를 말함 비수지 신호의 적절한 사용  

 

 

 

3) 해설

  

이중언어 이중문화 접근법
2Bi

 

목적: 청각장애아동이 사고에 필요한 도구를 발달시키고, 다른 청각장애인과의 관계를 통해 건강한 자아의식을 발달시키기 위해서 강력한 시각적 1차 언어를 갖도록 하는 것

 

방법: 수화(자연수화)를 일차언어로, 국어(음성언어와 문자언어)를 이차언어로 가르치며 농인 문화 속에서의 교수에 초점을 두어 청각장애아동 교육에 청각장애인 사회의 역사와 기여, 가치, 전통을 포함시켜 가르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