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학년도 공립 특수학교(초등) 교육과정 A, 6번

2022. 3. 29. 15:48Education

반응형

2022학년도 공립 특수학교(초등) 교육과정 A, 6번

 

1) 적대적 반항장애

 

2) ① 자신과의 관계

   ② 나 전달법은 자신이 어떻게 느끼는가를 표현하기 때문에 지호의 타인의 탓으로 돌리는 왜곡된 신념을 정당화하지 않으며, 듣는 사람이 받아들이기 쉽기 때문이다.

 

3) ① 비합리적 신념을 합리적 신념으로 변화 시키기 위함이다.

   ② 게임에 질 수도 있어

 


1) 해설

적대적 반항장애

A. 화가 민감한 기분, 시비를 걸거나 반항하는 행동, 보복적인 행동이 최소 6개월간 지속되고, 형제가 아닌 다른 사람 1인 이상과의 상호작용에서 다음 항목 중 적어도 4가지 증후를 보임
[화난 민감한 기분] 1. 자주 화를 낸다.
2. 자주 다른 사람에 의해 쉽게 기분이 상하거나 신경질을 부린다.(짜증을 낸다)
3. 자주 화를 내고 쉽게 화를 낸다.
[시비를 걸거나 반항하는 행동] 4. 권위적인 사람 또는 성인과 자주 말싸움(논쟁을 한다.)
5. 권위적인 사람의 요구에 응하거나 규칙 따르기를 거절 또는 무시하는 행동을 자주 보인다.
6. 의도적으로 다른 사람을 자주 괴롭힌다.
7. 자신의 실수나 비행을 다른 사람의 탓으로 자주 돌린다.
[보복적인 행동] 8. 지난 6개월간 두 차례 이상 다른 사람에게 악의에 차 있거나 보복적인 행동을 한 적이 있다.
 

정서행동장애 영역은 DSM기준을 잘 외우는 방법 밖에 없다. 다만, 특징이 두드러지는 장애영역을 중심으로 공부하자.

 

 

2) ① 해설

2015 도덕 교육과정

5-6학년군 자신과의 관계 내용요소를 보면 '어떻게 하면 감정을 잘 조절할 수 있을까?'가 있다. 

교수학습과정안의 내용과 같은 내용이므로 해당 영역은 자신과의 관계가 정답이다.

 

 

   ② 해설

(가)는 적대적 반항장애이지만 직접적으로 언급하는 것보다는 지문에 나와있는 예시를 쓰는 것이 정답률이 더 높다. (다)는 합리적 정서행동치료이다. (다)도 마찬가지로 직접적으로 언급하기보다는 (다)의 핵심 내용을 언급하는 것이 좋다.

 

나 전달법은 말하는 사람이 상대방을 직접적으로 공격하지 않고 자신이 어떻게 느끼는가를 표현하기때문에 자신의 판단을 정다화하지 않으며, 따라서 듣는 사람이 받아들이기 쉽다.  또한 말하는 사람의 마을을 드러내도록 도와주고 자신이 처한 상황을 정적히게 나타낼 수 있다.

 

나 전달법은 자신이 어떻게 느끼는가를 표현하기 때문에 지호의 타인의 탓으로 돌리는(가) 왜곡된 신념(다)정당화하지 않으며, 듣는 사람이 받아들이기 쉽기 때문이다.

 

 

 

 

3) ① 해설

(다)의 내용은 합리적 정서행동치료(REBT)의 내용이다. 그러므로 REBT의 목적을 기술하는 것이 적절하다.

 

a= A

b=B

c=C

e=E   (아래 내용 참고)

 

D(논박)의 내용을 지워서 힌트를 덜 준 것입니다.

목표 학생의 비합리적 신념을 합리적 신념으로 바꾸는 것
ABCDE
모형
A(반응을 일으키는 사건)C(정서적·행동적 결과)를 초래하는 것이 아니라, 각 개인의 A에 대한 믿음, B(사고)C의 정서적·행동적 반응을 초래한다고 본다. 그러므로 자신의 정서적 반응이나 장애를 일으키는 비합리적인 생각을 D(논박)을 통해 합리적인 생각(E:효과를 봄)으로 바꾸는 방법을 제시 인지적 재구조화
A Activating event : 활성화 사건, 선행사건, 상황, 환경 또는 개인의 태도
B Belief : A(반응을 일으키는 사건)에 대한 믿음, 신념, 사고
C Consequence : 각 개인의 반응이나 정서적·행동적 결과
D Dispute : 논박, 비합리적 신념의 논리, 증거 유용성이 부족하다는 것을 설명함
내담자가 자신의 비합리적 사고를 계속적으로 논박하여 합리적 생각으로 바꿈
E Effect : 효과, 논박이 성공하면 내담자의 적절한 정서와 적응적 행동을 일으키는 효과가 나타남
 

 

   ② 해설

E(효과)의 내용을 적절하게 기술하면 됩니다. 왜곡된 인지가 합리적인 신념으로 바뀐 내용이면 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