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학년도 공립 특수학교(초등) 교육과정 A, 5번

2022. 3. 29. 00:01Education

반응형

2022학년도 공립 특수학교(초등) 교육과정 A, 5번

 

1) ① 탄력적 환경확대법

   ② 기호와 범례, 방위

 

2) 사회적 의사소통과 사회적 상호작용에 결함, 특별한 관심 영역

 

3) ① 스티커 얻기

   ② 변동간격강화를 사용하면 반응의 일관성이 없어 교수 초기에 대체 행동을 습득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이다.

 

 


 

1) ① 해설

교육과정 내용 조직 원리(4)

-환경확대법: 가족, 학교, 이웃, 시도, 국가, 세계 순으로 확대시키며 사회과의 계열을 구성하는 것.

                 탄력적 환경 확대법-무작정 거리로만 접근하는 환경확대법이 아닌 탄력적으로 접근하는 것

                                          (학년군으로 내용체계를 묶는 방법도 있음)

-나선형 교육과정: 핵심 개념을 중심으로 학년별 교육내용의 범위, 깊이를 점점 확장시켜서 구성하는 방식

-통합교육과정

-교육과정의 지역화

 

   ② 해설

지도의 기본 요소

지도의 기본 요소(출처, 사회교과서)

①방위②기호와 범례③등고선④축척

 

 

2) 해설

자폐성 장애의 일반적인 특성을 기술하라고 했지만, 사회적 상황 이야기의 목적과 파워 카드의 특징을 이용해서 쓰는 것이 좋다. 사회적 상황이야기의 목적 중 '시각적 강점을 이용한다'와 '사회적 상황과 상대방의 입장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 파워카드의 특징 중 'ASD학생들이 보이는 특별한 관심 영역을 강점으로 보고~' 내용을 이용해서 답안을 작성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더불어, DSM에서 언급하는 내용으로 쓰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3) ① 해설

선행사건에서 공통적으로 제거된 것은 스티커이다.

그러므로 성규는 스티커를 얻기 위해 '소리 지르기'행동을 한 것이다.

 

 

   ② 해설

반응의 효율성: 새로운 행동은 문제행동보다 빠르고 쉽게 원하는 결과를 얻어야 함.

효율성 기준(5)

-노력

-질 또는 강도

-결과의 즉각성

-결과의 일관성

-처벌의 개연성

 

강화 계획(2)

-연속적 강화계획: 습득단계에서 사용됨.

-간헐적 강화계획: 행동을 유지하는 데 사용됨.

 

(ㅁ)에서 교수 초기라는 말은 대체행동을 처음 학습하는 시기이므로 즉각적이고 매 회기에 강화가 이루어져야 함을 말한다. 그렇기 때문에 변동간격강화가 아닌 연속적 강화계획을 세워야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