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학년도 공립 특수학교(초등) 교육과정 A, 4번

2022. 3. 28. 16:20Education

반응형

2022학년도 공립 특수학교(초등) 교육과정 A, 4번

 

1) ① 단어인지 읽기학습장애

   ② 예측하기

 

2) ⓑ 단어를 잘못 읽고, 이로 인해 의미를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다.

 

3) ① 타악기는 어떻게 소리를 내나요?

   ② 나열형

 


 

1) ① 해설

학습장애 하위 유형

-읽기장애 (단어인지 읽기장애, 읽기유창성 읽기장애, 읽기이해 읽기장애)

-쓰기장애 (철자쓰기장애, 작문 쓰기장애)

-수학장애 (연산 수학장애, 문제 해결 수학장애)

 

단어인지(단어재인) 능력: 단어를 빠르게 소리내어 읽고, 단어의 의미를 파악하는 능력을 의미함.

단어인지 읽기장애학생은 개별 단어를 정확하게 읽고 의미를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② 해설

읽기 이해력 증진 교수법

-읽기 전 전략 (관련지식 자극하기, 예측하기)

-읽기 중 전략 (글 구조에 대한 교수, 중심내용 파악하기)

-읽기 후 전략 (질문하기, 요약하기)

'글을 읽기 전에 미리 보기' 라고 했으므로 읽기 전 전략 중 선택

읽을 글에 대한 내용을 생각해 보기는 예측하기 내용이다.

 

 

2) 해설

은수에게 컴퓨터를 활용한 대체출력 보조공학 지원하기

위 보기에서 출력기기를 선택

ⓐ입력ⓑ출력ⓒ입력ⓓ보조ⓔ보조ⓕ보조

ⓑ스크린 리더만 출력 장치다.

 

은수는 시력 이상없음, 듣기 및 말하기 어려움 없음

하지만, 단어를 잘못 읽어서 글을 이해하는 데 어려이 있기때문에 스크린리더를 사용하여 글을 읽는 데 도움을 준다.

은수의 특성을 가지고 답안을 작성하면 된다.

 

3) ① 해설

2015공통교육과정 국어 - 읽기 - 내용체계 - 핵심개념

-읽기의 구성요소 (독자, 글, 맥락)

-읽기의 과정

-읽기의 방법 (사실적 이해, 추론적 이해, 비판적 이해, 창의적 이해, 읽기 과정의 점검)

3~4학년군에서 사실적 이해중심 생각 파악이다.

그러므로 글에서 주로 다루는 내용인 소리를 내는 방법에 대하여 질문을 하는 것이 적절하다.

 

 

   ② 해설

설명글 구조

-나열형: 설명식 글은 여러 가지 중요 사실들을 동등한 수준에서 제시하고 이를 설명하는 형식을 가짐

-비교대조형(벤다이어그램): 두 개 이상의 사건, 현상 또는 사물을 서로 비교하는 형식

-원인결과형(순서적, 인과관계): 형상이나 사건이 촉발되게 한 원인과 그로 인해 발생한 결과를 설명하는 형식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