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학년도 공립 특수학교(초등) 교육과정 A, 3번

2022. 3. 25. 16:12Education

반응형

2022학년도 공립 특수학교(초등) 교육과정 A, 3번

 

1) ① 어휘다양도

   ② 반응적 상호작용 대화 전략

 

2) 과소일반화

 

3) ① 교사가 신발장 앞에서 가만히 서있는다.

   ② 바닥에 놓아주세요.

 


 

1) ① 해설

어휘다양도(TTR): -아동이 사용한 총 낱말 중에서 다른 낱말의 비율이 얼마나 되는가를 산출해 내는 것,

                      -얼마나 다양한 어휘를 사용했는지에 대해 알아보는 것

어휘다양도 = 다른 낱말의 수 / 총 낱말의 수

TTR = NDW / NTW

 

   ② 해설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EMT) 3가지 요소

- 환경조성 전략

  (흥미 있는 상황, 손에 닿지 않는 상황, 부적절한 상황, 선택해야 할 상황, 도움이 필요한 상황, 예기치 못한 상황)

- 반응적 상호작용 대화 전략

  (공동관심 및 상호관심 형성, 차례 주고받기, 상대방의 행동에 따른 반응, 긍정적인 감정 표현)

- 환경교수 절차

  (모델링, 요구-모델기법, 시간지연 기법, 우발학습(우연학습)기법)

 

◦혼자 블록 쌓기를 하고 있으면 교사가 “상우야, 무슨 모양을 쌓은 거야? 좋아하는 버스 모양으로 쌓았네.” 하며 대화를 이끌어 가기 → 공동관심 및 상호관심 형성

◦ 색칠하기 책을 쳐다보고 있으면 “상우야, 선생님이랑 색칠하기 놀이를 해볼까? 무슨 색을 칠해 볼까?” 하며 놀이하기 공동관심 및 상호관심 형성
◦ 퍼즐을 하나씩 번갈아 맞추며 “상우야, 이번에는 네 차례야.” 라며 교대로 대화 주고받기 차례 주고받기
◦ 손등을 긁으며 가렵다는 표현을 하면 교사도 자신의 손등을 긁으며 “상우야, 가려워?” 라고 말하기 상대방의 행동에 따른 반응

 

 

2) 해설

일반화 - 자극의 일반화

-과잉일반화: 행동이 너무 광범위한 자극 부류의 통제 아래에 있게되는 결과를 의미함

 예) 친구들과의 인사말 "안녕"을 가르쳤더니, 선생님에게도 "안녕"이라고 인사하는 경우

-과소일반화: 제시된 자극 중 특정요소에만 반응이 결합되는 것

 예) 흰 강아지 그림 카드를 보고 '개'를 배운 후, 강아지가 흰 색일 경우에만 '개'라고 하는 경우

 

 

3) ① 해설

언어의 기능이 요구하기, 의미 관계가 대상-행위인 목표 발화는 "신발장 열어주세요"이다

신발장을 열어야하는 데 열리지 않아서 요구하기의 기능을 가진 발화로 나온 것이다.

그러므로 유도 상황에는 신발장이 열리지 않는 상황을 만들어준다는 내용이 적절하다.

유도하는 상황이 교사가 하는 행동이므로 교사가 목표행동을 하지 않고 기다리는 모양으로 서술하는 것이 좋다.

 

   ② 해설

유도 상황이 '교사가 신발을 다시 신발장 안이나 위에 놓으려고 한다'이고 요구하기의 기능, 의미 관계는 장소-행위이다.

이때 가능한 목표 발화는 '바닥(장소)에 내려놓아요(행위)'와 같은 발화가 적절하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