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학년도 공립 특수학교(초등) 교육과정 A, 1번

2022. 12. 6. 11:54Education

반응형

2023학년도 공립 특수학교(초등) 교육과정 A, 1번

1) 체육, 예술(음악/미술)

 

2)① 학생의 수행 수준

    ② 학교 교육과정 위원회

 

 

3) ①학교의 여건

     ②교과의 특성

 

 


 

1) 해설

 

별책1 특수교육 교육과정 총론

Ⅲ.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기준 -

2. 공통 교육과정 및 선택중심 교육과정 편성운영 - 나. 교육과정 편성운영 기준

 

4) 학교는 학교의 특성, 학생교사학부모의 요구 및 필요에 따라 교과(군)별 20% 범위내에서 시수를 증감하여 편성운영할 수 있다. 단, 체육, 예술(음악/미술) 교과는 기준 수업 시수를 감축하여 편성운영할 수 없다.

 

 

 

 

2) ① 해설

 

별책1 특수교육 교육과정 총론

Ⅲ.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기준 -

1. 기본 사항

 

하. 중도중복장애 학생이 포함된 학급을 운영하는 특수학교는 해당 학급 학생의 교육과정을 다음과 같이 편성운영할 수 있다.

 

  1) 교과(군)별 50% 범위 내에서 시수를 감축하여 창의적 체험활동으로 편성할 수 있다. 감축을 할 경우 해당 교과는 학생의 수행 수준에 따라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여 운영한다.

 

 

 

 

    ② 해설

 

별책1 특수교육 교육과정 총론

Ⅳ.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 1. 기본 사항

 

라. 교육과정의 합리적 편성과 효율적 운영을 위해 교원, 교육과정 전문가, 학부모 등이 참여하는 학교 교육과정 위원회를 구성하여 운영하며, 이 위원회는 학교장의 교육과정 운영 및 의사 결정에 관한 자문의 역할을 담당한다. 단, 특성화 고등학교와 산업수요 맞춤형 고등학교의 경우에는 산업계 인사가 참여할 수 있고, 통합교육이 이루어지는 학교의 경우에는 특수교사가 참여할 것을 권장한다.

 

 

 

3) 해설

 

별책1 특수교육 교육과정 총론

Ⅳ.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 1. 교수학습

 

나. 학교는 효과적인 교수학습 환경 설계를 위해 다음과 같은 사항에 중점을 둔다.

7) 학교의 여건과 교과의 특성에 따라 실시간 쌍방향 수업, 콘텐츠 활용 중심 수업, 과제 중심 수업 등 다양한 유형의 원격수업 운영할 수 있다. <신설 2020.12.3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