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학년도 공립 특수학교(초등) 교육과정 A, 1번

2022. 3. 22. 21:56Education

반응형

특수학교(초등) 교육과정 A, 1번

1) ①집중제

   ②캠페인 활동

 

2) ①보조공학기기

   ②특별한 교육지원이 필요한 영역의 현재 학습수행수준

 

3) 해당 학년군(5-6학년군) 교육과정을 따른다.

 


1) ①해설

2015 특수교육 교육과정 - 기본 교육과정(별책3) - 창의적 체험활동

- 4. 편성운영과 지원 - 가. 편성운영 - (1) 공통 지침

(나) 창의적 체험활동은 교육 여건을 고려하여 정일제, 격주제, 전일제, 집중제 등을 활용하여 융통 성 있게 연간 계획을 편성할 수 있다. 창의적 체험활동의 시수 편성 방법과 특징의 예시는 [표 6]과 같다.

1) ②해설

2015 특수교육 교육과정 - 기본 교육과정(별책3) - 창의적 체험활동

 - 3. 영역과 활동 - 가. 영역 구성

 

2) ①해설

총론 - Ⅳ.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 2. 교수학습

다. 학교는 학생의 수업 참여도를 높이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 긍정적 행동지원, 보조공학 기기 및 의사소통 지원 방안을 마련한다.

 

2) ②해설

제4조(개별화교육지원팀의 구성 등) ① 각급학교의 장은  제22조제1항에 따라 매 학년의 시작일부터 2주 이내에 각각의 특수교육대상자에 대한 개별화교육지원팀을 구성하여야 한다.

② 개별화교육지원팀은 매 학기의 시작일부터 30일 이내에 개별화교육계획을 작성하여야 한다.

③ 개별화교육계획에는 특수교육대상자의 인적사항과 특별한 교육지원이 필요한 영역의 현재 학습수행수준, 교육목표, 교육내용, 교육방법, 평가계획 및 제공할 특수교육 관련서비스의 내용과 방법 등이 포함되어야 한다.

④ 각급학교의 장은 매 학기마다 개별화교육계획에 따른 각각의 특수교육대상자의 학업성취도 평가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특수교육대상자 또는 그 보호자에게 통보하여야 한다.

 

 

3) 해설

총론 - Ⅲ.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기준 - 1. 기본 사항

파. 일반학급 및 특수학급에 배치된 특수교육 대상 학생의 교육과정은 다음과 같 이 편성・운영한다.

  1) 편제와 시간 배당은 해당 학년군의 교육과정을 따른다.

  2) 교과의 내용을 대신하여 생활기능 및 진로와 직업 교육, 현장 실습 등으 로 편성・운영할 수 있다. 그 영역과 내용은 학생의 장애 특성 및 정도를 반영하여 학교가 정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