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뜰폰(MVNO) 알뜰 요금제

2020. 4. 5. 18:50전자기기

반응형

알뜰폰(MVNO) 알뜰 요금제!

 

 

 

 

출처: 방송통신위원회 알뜰폰

MVNO moblie virtual network operator(A)  / MNO moblie network operator(B)

 

MVNO는 이동통신이긴 한데, 가상통신망사업을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통신망을 가지고 있지 않은 업체(A)

통신망을 가지고 있는 업체(B)의 통신망을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알뜰폰 자체는 '알뜰하다'의 의미와 '핸드폰'의 의미가 합쳐져서 만들어진 뜻이지만,

단지 의미만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알뜰폰은 서비스 그 자체를 표현하는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KT, SKT, LG U+라는 대형(?) 기업이 통신을 주도하고 있다.

그런데................

그런데................

서비스 요금이 매우 높습니다.

한마디로 요금제가 넘~~흐 비싸요...

그래서 이 대형 통신3사가 담함을 한 것이 아니냐라는 의혹을 많이 받았는데요.

그래서 태어난 것이 바로 알뜰폰 서비스입니다.

 

처음에 설명드린 것처럼 아 알뜰폰 서비스는 자체적으로 통신망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통신3사(KT, SKT, LG U+)의 통신망을 사용한다고 말씀드렸죠?

 

 통신3사(KT, SKT, LG U+)는 통신망(LTE, 5G)을 구축하고 운영하는데 돈을 쓰고

또 1년에 사용하는 광고비용만 조(?!?!) 단위가 넘어가기 때문에....

소비자에게 들어가는 서비스에 집중할 수 없겠죠??

하지만 알뜰폰 서비스는 이 통신3사(KT, SKT, LG U+)가 구축해 놓은 통신망을 사용하면서

광고비용은 많이 사용하지 않으니 통신비를 절감할 수 있다는 것이죠!!!

이런 것을 만들어 내서 관리하는 것이 정부 주도의 정책이라서 보다 신뢰가 됩니다.

 

와우!!!

 

알뜰폰 서비스를 대표하는 회사들로는

 

SKT 망을 빌리는 7모바일(SK텔링크)

sk 7 moblie

 

KT 망을 빌리는 M모바일

kt m moblie

 

LG U+ 망을 빌리는 U+ 알뜰모바일

u+ 알뜰모바일

 

등이 있습니다.(이 외에도 엄청 많습니다.)

 

 

 

그런데 말입니다....

알뜰폰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람이 많을까요?

정답은!!!!

생각보다 많습니다.

출처: 나무위키

 

 

왜냐하면 소비자들은 안전한 서비스를 원합니다.

하지만 잘 알려지지 않은 서비스를 저렴한 가격에 이용하는 것은

굉장히 불안해하죠..

그래서 처음 시작은 미약하였으나......

지금은 엄청나게 많은 사람들이 알뜰폰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처음 알뜰폰 서비스는 많은 단점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제대로 된 고객센터를 운영하지 않거나, 문자 본인인증이 안 되거나 등등..

하지만 요즘에는 전혀 그렇지 않다는 것이죠.

알뜰폰 서비스를 운영하는 곳마다 고객센터를 운영하고 있고

문자 본인인증이 모두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거기에 말도 안 되는 통신비....

신용카드 할인도 가능하고 이건 뭐 안 쓰면 손해인 것이죠.

유일한 단점이라면 통신3사(KT, SKT, LG U+) 사용하는 포인트 같은 제도가 없다는 것입니다.

이 포인트는..... 솔직히 거의 사용하지 않아서 저에게는 별로 단점이 되지는 않는 것 같습니다.

 

다음에는 이 알뜰폰 서비스통신3사(KT, SKT, LG U+)를 비교하면서

얼마나 더 알뜰폰 서비스가 저렴한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

'전자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뜰요금제 (sk 7 mobile 편)  (0) 2020.04.08